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제공부 필독서 대니얼 카너먼 생각에 관한 생각

by 빌리밀리 2023. 1. 3.
반응형

우리가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는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요? 당장 내 옆에 내가 원하는 지식을 알려줄 사람이 없다면, 우리는 책으로 시작해야 합니다. 경제적으로 성공한 유튜버들이 추천하는 책을 살펴보면 경제학, 심리학, 뇌과학에 관한 책을 많이 추천합니다. 우리가 경제에 대해서 배우려고 할 때 반드시 읽어야 할 책 한 권을 추천해 보겠습니다. 

 

출처 예스24

 

 

심리학자가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오늘 추천할 책인 '생각에 관한 생각'의 저자 대니얼 카너먼은 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그렇다면 그는 경제학자라고 생각하겠지만 놀랍게도 대니얼 카너먼은 심리학자입니다. 이스라엘 출신인 그는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심리학 박사 과정을 거쳤으며 현재는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명예교수직을 맡고 있습니다. 어떻게 심리학자인 대니얼 카너먼이 노벨경제학상을 받을 수 있었을까요? 대니얼 카너먼은 아모스 트버스키와 함께 1979년 전망이론을 발표합니다. 전망이론은 위험을 수반하는 대안들 간에 의사결정을 어떻게 내리는지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전통 경제학이 이야기하는 '인간은 늘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는 가정을 깨고 실험에 의한 증거를 기반으로 인간이 어떻게 잠재적 손해와 이득을 평가하는지 설명합니다. 이 이론으로 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게 되지만 안타깝게도 아모스 트버스키는 1996년에 사망했습니다. 대니얼 카너먼은 노벨경제학상의 공로를 그에게 돌렸으며, 저서 '생각에 관한 생각'에서도 아모스 트버스키에 대한 고마움과 그리움을 표현했습니다. 이 전망이론을 배경으로 1980년 리차드 탈러가 긍정적 소비자 선택이론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그 논문은 '행동경제학'의 초석이 되었습니다.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 리차드 탈러가 행동경제학의 창시자인 셈입니다. 

 

행동경제학의 바이블, 생각에 관한 생각

행동경제학의 바이블이라 불리는 생각에 관한 생각은 2011년 미국에서 출간되고 세계 각국의 언어로 전세계에서 출간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3월에 초판이 출간되었습니다. 이후 초판이 37쇄까지 발행되는 등 책의 두께가 굉장히 두꺼운데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 책에서는 인간의 사고체계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시스템1, 시스템2로 나타냅니다. '생각에 관한 생각'의 원제는 'Thinking Fast and Slow'인데, 여기서 말하는 시스템 1, 시스템 2 가 각각 thinking fast와 thinking slow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빨리 생각하는 것, 즉 직관적인 사고방식은 우리가 큰 노력이 필요없이 빠른 시간에 사고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예를 들면 1+1을 계산하기, 차가 없는 직선도로에서 운전하기 등), 천천히 생각하는 것은 노력이 필요하고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는 논리적 사고방식을 의미합니다(예를 들면 복잡한 자릿수 계산하기, 차가 막히는 복잡한 도로에서 운전하기 등).  시스템 1, 직관적 사고방식에 의해서 인간은 의사결정을 할 때 오류를 범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직관적 사고방식에 의해 인간이 가지게 되는 여러 편향들에 대해 설명을 합니다. 우리가 이런 편향으로 인해 의사결정에 오류를 범한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도 많은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전에 '클루지' 같은 뇌과학 책을 소개할 때 항상 붙는 말입니다.) 이렇게 두 가지 시스템이 있다는 개념으로 시작해서, 각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인지 오류(어림짐작과 편향, 과신 등), 선택, 두 자아로 내용이 이어지는데, 600페이지가 넘는 압도적인 분량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제시하는 퀴즈를 풀어가며 읽어가다 보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습니다. 

 

행동경제학은 기존의 경제학이 가지는 한계를 깨고 인간의 불완전성을 근거로 20세기 이후 시장, 정부의 실패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론을 벗어나 정부, 기업 등에 의해서 마케팅, 보건, 에너지, 환경 분야 등에서도 행동경제학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경제학의 바이블, '생각에 관한 생각'을 꼭 읽어보길 추천합니다. 

반응형

댓글